운전면허 취득일 조회, PC, 모바일에서 이렇게

렌트를 하거나, 운전 관련 직종에 지원을 하는 등 보유 중인 운전면허의 취득일을 작성해 제출해야 경우가 있는데요. 이번 글에서는 이러한 상황에 실물 운전면허증을 갖고 있지 않은 경우 PC와 모바일에서 운전면허 취득일을 조회하는 방법을 소개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운전면허 취득일 조회

운전면허의 취득일은 기본적으로 실물 운전면허증을 통해 확인이 가능한데요. 만약 운전면허증을 소지하고 있지 않다면 PC와 모바일에서 지원되는 운전면허 정보 조회 서비스를 이용하거나, 운전경력증명서를 발급하는 등의 방법으로 보유한 운전면허의 취득일을 조회할 수 있습니다.

그럼, PC와 모바일에서 각각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을 하나씩 소개해 보도록 할 테니, 원하는 방법을 선택해 취득일을 조회해 보시길 바랍니다.

PC에서 운전면허 취득일 조회하기

PC에서는 운전면허 취득일 조회에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이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는 교통민원24(이파인)의 운전면허 조회 서비스를 이용하는 방법, 정부24의 운전면허 정보 조회 서비스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겠는데요.

이 중 교통민원24를 이용한다면 다음과 같은 순서로 간단히 본인이 보유한 운전면허의 취득일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1. 교통민원24 홈페이지에 접속합니다.

2. 인증서를 이용해 교통민원24에 로그인합니다. 이때 별도의 회원가입은 필요 없습니다.

경찰청 교통민원24에 로그인

3. 로그인을 완료했다면 홈페이지에 표시되는 메뉴 중 ‘운전면허 조회’를 선택합니다.

경찰청 교통민원24의 메뉴 중 '운전면허 조회'를 선택

4. 조회된 운전면허 정보에서 발급일자를 확인해 운전면허의 취득일을 확인합니다.

면허 기본 정보의 발급일자를 확인

모바일에서 운전면허 취득일 조회하기

모바일에서 운전면허 취득일을 조회하는 가장 간편한 방법은 정부24 모바일 앱, 카카오톡, 네이버 등의 전자증명서 서비스로 운전경력증명서를 발급하는 방법입니다.

사실 위에서 설명한 교통민원24를 이용하는 방법도 있지만, 모바일에서 해당 방법을 이용하기 위해선 따로 앱을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실제로 필자는 자주 사용하는 카카오톡에서 운전경력증명서를 발급해 운전면허의 취득일을 확인할 때 이용하는데요.

필자와 같이 카카오톡을 이용한다면 다음과 같은 순서로 운전경력증명서를 발급하고, 운전면허의 취득일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1. 카카오톡을 실행하고, 더보기 메뉴로 이동합니다.

2. 더보기 메뉴에서 ‘지갑’을 선택합니다.

카카오톡의 더보기에서 '지갑'을 선택

3. 지갑의 전자문서 메뉴로 접속하고, 전자증명서의 ‘발급’ 버튼을 선택합니다.

지갑의 전자문서 메뉴에서 전자증명서의 '발급' 버튼을 선택

4. 발급할 증명서로 ‘운전경력증명서’를 선택합니다.

발급 신청할 전자증명서의 종류로 '운전경력증명서'를 선택

5. 발급되는 증명서에 표시될 운전 경력을 선택하고, 발급 사유를 선택한 뒤, ‘인증 후 신청하기’를 선택해 카카오 인증서로 본인인증을 진행합니다.

운전 경력을 선택하고, '인증 후 신청하기'를 선택해 인증을 진행

6. 발급된 운전경력증명서에서 운전면허의 취득일을 확인합니다.

운전경력증명서에서 운전면허의 발급일자를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