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는 은행의 계좌를 다양한 방법으로 조회할 수 있게 되어 평소 사용하지 않는 은행의 계좌 정보를 확인하는 것도 간편해졌는데요. 이번 글에서는 국민은행의 계좌번호 찾기, 조회 방법과 계좌의 자릿수에 대한 정보를 소개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국민은행 계좌번호 찾기 방법
국민은행의 계좌번호를 찾는 방법은 다양합니다. 가장 기본적으로는 국민은행의 인터넷뱅킹, 모바일뱅킹과 같은 뱅킹 서비스로 계좌 정보를 조회하는 방법을 이용해 볼 수 있습니다. 다만, 국민은행의 뱅킹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선 국민은행 인터넷뱅킹에 가입되어 있어야 하며, 인증서 또는 인터넷뱅킹 아이디가 필요한데요.
만약 국민은행 인터넷뱅킹에 가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거나, 인증서 또는 아이디를 이용할 수 없는 상황이라면 토스, 카카오페이 등의 간편 송금 서비스 또는 평소 이용하는 다른 은행의 모바일뱅킹 앱에서 지원되는 오픈뱅킹 서비스로 국민은행 계좌를 연결하는 방법, 그리고 어카운트인포를 통해 보유한 계좌 정보를 조회하고, 여기서 국민은행의 계좌 정보를 확인하는 방법을 이용해 볼 수 있습니다.
지금부터는 위의 방법 중 국민은행의 모바일뱅킹을 이용하는 방법과 어카운트인포를 이용해 계좌번호를 조회하는 방법을 설명해 보도록 할 테니 필요하다면 해당 과정을 참고해 국민은행의 계좌번호를 찾아보시길 바랍니다.
국민은행 모바일뱅킹으로 계좌번호 조회하기
1. KB스타뱅킹 앱을 실행하고, 인증서로 로그인합니다.

2. 로그인을 완료했다면 홈 화면에서 ‘전체계좌 보기’를 선택합니다.

3. 조회된 계좌 정보로 원하는 계좌의 계좌번호를 확인합니다.

어카운트인포로 계좌번호 조회하기
1. 어카운트인포 앱을 실행하고, 공동인증서 또는 금융인증서로 로그인합니다.
2. 로그인을 완료했다면 홈 화면의 ‘내 계좌 한눈에’ 메뉴를 선택합니다.

3. 계좌가 조회된 은행 중 ‘국민은행’을 선택합니다.

4. 조회된 국민은행 계좌 정보에서 계좌번호를 확인합니다.

※ 어카운트인포에서 처음 계좌를 조회한 경우 계좌번호의 일부가 마스킹 처리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화면의 ‘계좌번호 일부 숨김’ 버튼을 선택한 후 인증서로 본인인증을 진행해 숨김 기능을 해제하면 마스킹 없이 모든 계좌번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국민은행 계좌번호 자릿수
현재 국민은행 계좌번호는 14자리의 숫자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여기서 하이픈은 14자리 숫자 중 첫 자리부터 6자리 다음에 하나, 이다음 2자리 이후에 하나가 위치하며, 일반적으로 “000000-00-000000″과 같은 형식으로 계좌번호가 표시됩니다.
참고로 국민은행 계좌번호 14자리 중 앞의 4자리는 지점코드를 의미하며, 다음 2자리는 과목코드, 그다음 7자리는 계좌의 일련번호, 마지막 1자리는 검증번호를 뜻합니다.